떡밥위키
최근 변경
최근 토론
특수 기능
파일 올리기
작성이 필요한 문서
고립된 문서
고립된 분류
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
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
내용이 짧은 문서
내용이 긴 문서
차단 내역
RandomPage
라이선스
IP 사용자
216.73.216.107
설정
다크 모드로 전환
로그인
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
로스트 미디어/목록
(r1 문단 편집)
닫기
RAW 편집
미리보기
=== 예술, 미술 === * [[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그레이엄_서덜랜드|그레이엄 서덜랜드]]의 [[윈스턴 처칠]] [[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Sutherland%27s_Portrait_of_Winston_Churchill|초상화]][br]윈스턴 처칠이 [[영국 총리]]로 재임할 적인 1954년 11월 30일 처칠의 자신의 80살 생일을 맞이해 영국 의회에서는 합동으로 서덜랜드에게 처칠의 초상화를 그려 달라고 했다. 그런데 이 초상화가 노쇠한 처칠을 너무 현실적으로 묘사했기 때문에 이 작품을 [[웨스트민스터]]에서 최초공개를 하자 처칠은 순간적으로 얼음이 되어 버리고 말았다. 하지만 애써 웃으며 "아주 훌륭한 현대미술의 표본"이라며 칭찬했으나 자신이 퇴임할 때 차트웰 하우스로 가지고 갔다. 부인인 클레멘타인 처칠은 자신의 남편이 그 초상화를 볼 때마다 괴로워하는 게 보기 싫어서 [[https://blog.naver.com/sakumkun/221649763331|비서를 시켜 1978년에 파괴해 버리고 말았다]]. 이에 서덜랜드는 "처칠 경이 내 초상화를 좋아하지 않는다는 건 알고 있었다, 그러나 그림을 불태우는 건 매우 야만적인 [[반달리즘]]적 행동이다."라며 비난했다. 초상화에 대한 이야기는 [[넷플릭스]] 오리지널 시리즈인 [[더 크라운]]에도 나온다. * 1980년대 국가의 탄압으로 폐기된 민중 미술품들 * 민족해방운동사[br]1988년에 [[홍성담]], 차일환 등 민중화가들이 참여한 민족민중미술운동전국연합 건설준비위원회에서 제작한 총 11폭짜리 걸개그림. [[동학농민운동]]부터 [[5.18 민주화운동]] 등 여러 민중항쟁을 순차적으로 묘사하였다. 해당 작품 원본은 1989년 한양대 평양축전 출정식 집회 때 [[백골단]]들에게 탈취된 후 소각되었고 작가들은 [[안기부]]에 구속되었다. 다만 평양축전에 보낸 슬라이드본, 1989년 순회 전시를 위해 제작된 팸플릿이 남아 있다. * 백두의 산자락 아래, 밝아오는 통일의 새날이여[br]1987년 전정호·이상호 걸개그림 작품. 해당 그림 속에 노동자와 농민이 미국 [[성조기]]를 [[낫]]으로 찢는 장면 때문에 두 작가가 국보법 위반으로 구속되었고 원본은 폐기되었다. 지금 남아 있는 것은 2005년에 복원한 것이다.
요약
문서 편집을
저장
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
CC BY-NC-SA 2.0 KR
또는
기타 라이선스 (문서에 명시된 경우)
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. 이
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.
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216.73.216.107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
저장
사용자
216.73.216.107
IP 사용자
로그인
회원가입
최근 변경
[불러오는 중...]
최근 토론
[불러오는 중...]